COLUMNS

손진호 Stephane SON (sonwine@daum.net)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한 와인의 매력에 빠져 1999년 귀국 이후 중앙대학교 소믈리에 과정을 개설, 한국 와인 교육의 기초를 다져왔다. 현재 <손진호 와인연구소>를 설립, 여러 대학과 교육 기관에 출강하고 있다. 인류의 문화 유산이라는 인문학적 코드로 와인을 교육하고 전파하는 그의 와인 강의는 평판이 높으며, 와인 출판물 저자로서, 칼럼니스트로서 그리고 컨설턴트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1.jpg

 

 


10월 말 밖에 안되었는데, 한반도의 날씨는 갑작스레 영하권 가까이 떨어지고, 서둘러 롱패딩을 꺼내 입어야 했다. 뒤늦게 찾아온 태풍 위투는 사이판을 초토화 시키고 많은 관광객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다. 기상 이변이 점점 잦아지고 있다. 자연은 언제 어떻게 우리 사는 세계의 날씨를 바꿀지 모른다. 그런데, 대자연의 변덕과 질투로 새로 탄생하게 된 와인도 많다. 오늘 소개할 마르살라 Marsala 와인이 그러하다. 

 

 

지중해의 폭풍이 가져다 준 선물,

마르살라 Marsala

 

18세기 후반, 영국 리버풀 출신인 존 우드하우스 John Woodhouse 라는 와인 상인이 폭풍의 풍랑을 피해 지중해 한 가운데의 섬 시칠리아의 마르살라 항으로 피신해 들어 왔다. 그는 여관에서 지역의 제일 좋은 와인을 시켜 맛보았는데, 알코올이 높았던 현지 와인에 매우 만족스러워 했다. 와인 상인이었던 그는 오크통 50통 분량의 와인을 구입하여 영국 시장의 반응을 보고자 했다. 다만, 영국까지 가는 긴 뱃길에 포도주가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브랜디를 조금 넣어 보냈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영국 시장에서 대성공을 거두자, 그는 1796년 다시 마르살라로 돌아와서 가난한 현지인들의 포도주를 사고 포도밭을 구입했다. 또한 직접 양조장 건물을 세우고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돈을 많이 벌어 마르살라 항구의 부두 시설까지 만들 정도였다. 1800년에 영국 해군의 Nelson 제독은 마르살라 와인을 구하기 위해 몰타 Molta 섬에 왕실 함대를 정박시키기도 했다. 버킹검 궁전의 셀러에는 마르살라가 항상 가득차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마르살라가 대 유행하게 되자, 많은 영국인들이 우드하우스의 뒤를 따랐다.

 

이렇듯 초기 마르살라 시장은 영국계 생산자들이 장악하였으며, 이탈리아인에 의한 Marsala 생산은 1833년이 되어서야 시작되었다. 마르살라는 그 후 19세기 동안 시칠리아에서 생산되는 와인 중 가장 수출량이 많았으며, 영국에서는 셰리, 마데이라와 견줄만한 인기를 누렸던 시칠리아 대표 강화 와인이었다. 발전하던 마르살라 산업은, 20세기 들어 경제 공황과 세계 대전, 농민들의 무지 등이 겹쳐 '위대한 화이트 와인으로서의 마르살라'의 위상이 많이 퇴색되었다. 그러나 최근 외식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면서 마르살라 와인은 새롭게 조명되며 옛 영광을 추구하고 있다. 

 

 

2.jpg

 

 

마르살라의 명가,

펠레그리노 Pellegrino

 

깐티네 펠레그리노 Cantine Pellegrino는 1880년 지역 정치가이자 와인 양조에 강한 열정을 지녔던 파올로 펠레그리노 Paolo Pellegrino 에 의해 설립 되었다. 이후 140여 년 가까이 시칠리아 와인 산업의 리더로 군림해 온 중요한 와이너리다. 설립자인 파올로의 아들 카를로 펠리그리노 Carlo는 프랑스 유력 양조가 오스카 피에르 데스파뉴 Oscar Pierre Despagne의 딸인 조세핀 Josephine과 혼인하면서 프랑스의 선진 양조의 노하우와 기술을 전수 받았다. 펠레그리노사는 와인에 대한 열정과 경험, 시칠리아 전통 문화의 승계와 지역 발전에 공헌하는 가문의 전통을 이어 왔다. 현재 5세대와 6세대를 이어 오며 가족 경영으로 운영되고 있어, 유달리 가족의 유대가 강한 시칠리아에서도 가장 모범적인 와이너리로서 칭송받고 있다. 현재 피에트로 알라냐 Pietro Alagna (회장 과 베네데또 렌다 (사장)이 경영을 책임지고 있다. 
  

 

3.jpg

<앞줄 왼쪽부터 Benedetto Renda(5대, CEO), Pietro Alagna(4대, 회장), Maria Chiara Bellina, Massimo Bellina (5대)>

 

 

펠레그리노 양조장은 설립 당시 부터 최상급 마르살라의 생산자로 큰 명성을 이룩해왔다. 마르살라시 인근에 위치한 역사적인 펠레그리노 양조장에서는 오랜 전통과 역사를 고수하면서도 최첨단 설비를 갖추고 다양한 스타일과 뛰어난 품질의 마르살라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펠레그리노 사의 비노 '마르살라 베르지네, 리제르바 델 첸테나리오 Marsala Vergine Riserva del Centenario' 1980 빈티지 와인은 2013년에 이탈리아의 최고 와인 평가 기관 감베로 로쏘 Gambero Rosso로부터 3 글라스(Tre Vicchieri)를 획득하였고, <죽기 전에 꼭 마셔봐야 할 와인 1001> 책에 등재되었다. 또한 이 와이너리는 와인 양조 설비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문화 유산들을 함께 전시, 보관하고 있어 마르살라 역사 박물관이라 불리며 세계적으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기도 한다.

 

펠레그리노 양조장의 철학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시설이 '오버츄어 펠레그리노 Overture Pellegrino' 다. 이 시설은 셀러도어처럼 숍, 전시공간, 프레젠테이션 공간과 6개의 객실, 루프탑 바가 있어서 양조장을 내방하는 방문객들을 위한 공간이다. 루프탑 바는 일주일에 한번은 일반 고객을 위해 영업하기도 하니 꼭 방문해 보기 바란다. 석양 무렵 마르살라 한 잔을 마시며 지중해를 관조하는 풍광이 그만이다. 오버츄어 뒷편으로 역사적인 마르살라 와이너리가 있다. 이 연결 통로 입구에 작은 박물관이 있어서 오래된 포도 재배 양조 도구와 예쁘게 장식한 시칠리아 전통 마차 등을 전시하고 있다. 본 칼럼의 첫번째 사진에서 보이는 둥근 탑은 '펠레그리노 타워'인데 예전에 와인 탱크로 사용하던 곳을 개조한 장소이다. 지금은 이곳에 시음장과 레스토랑이 있다. 
 

 

4.jpg

 


마르살라를 넘어 테이블 와인의 명가로

 

마르살라 강화 와인 생산으로 시작한 펠레그리노의 양조 역사는 이제 일반 와인 생산 부문에서도똑같은 품질 우선주의 철학과 기술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마르살라 최고의 와인 생산자라는 타이틀을 뛰어넘어, 뛰어난 품질의 다양한 테이블 와인 생산을 위해 2004년 마르살라 외곽의 까르딜라 Cardilla에 최첨단 설비의 새로운 와이너리를 설립하고, 끊임 없는 개발과 혁신, 도전을 이행하고 있다. 300 ha 이상의 면적에서 포도를 재배하고 있으며 300여 곳 이상의 포도 재배자들과 공급 계약을 갖고 있다. 시칠리아 섬의 서부 지역 중 포도 재배에 가장 최적인 곳에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와 바위가 많은 가파른 경사면 등의 다양한 자연 조건을 활용하여 테루아의 특성이 담긴 와인을 생산한다. 특히 양조장이 위치한 트라파니 Trapani 군에서는 해발 고도와 토질 그리고 미세 기후의 특성을 파악하여 6개의 포도 품종을 과학적으로 분산 배치 재배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시켰다. 이곳에서는 인졸리아 Inzolia, 샤르도네, 네로다볼라 Nero d’Avola, 그릴로 Gillo, 프라파토 Frappato, 시라 등의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 
 

 

5.JPG

 

 

발전을 멈추지 않는 펠레그리노 양조장은 최근 모스카토 품종 와인과 파시또 스타일 와인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펠레그리노는 1992년 시칠리아 남부의 작은 섬 판텔레리아 Pantelleria에 와이너리를 설립하여 이 섬 총 생산량의 75%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이 지역의 농민들은 전통적으로 포도 재배와 케이퍼 생산에 종사하고 있었는데, 펠레그리노가 이 지역에 와이너리를 설립할 당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이 섬을 떠나려고 했었다. 그러나 펠레그리노는 지역민들을 설득해 그들이 생산한 모든 포도를 매입하기로 하여 이 지역 전통인 모스카토 와인 생산을 지속시켰고 지역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스파클링에서 스틸 와인까지, 드라이 테이블 와인에서 스위트 디저트 와인까지, 토착 품종 와인에서 국제적 스타일 와인까지, 이제는 종합 와이너리로서 21세기의 지평을 넓히고 있는 펠레그리노 와인! 그럼, 이 양조장의 대표 와인 4종을 시음해보자. 

 


6.jpg

 

 

7_marsala.jpg

마르살라 베르지네 리제르바 델 첸테나리오 1980

Marsala Vergine Riserva 1980  

 

 

마르살라는 색상에 따라, 황금색 오로 Oro, 호박색 암브라 Ambra, 루비색 루비노 Rubino 로 구분한다. 그리고 당도에 따라 드라이한 쎄꼬 Secco, 세미 스위트 맛인 세미 쎄꼬 Semi-secco, 스위트한 돌체 Dolce 로 나뉜다. 마르살라 와인의 품질 등급은 Fine, Superiore, Superiore Riserva, Vergine, Vergine Riserva 로 정리된다.


필자가 시음한 '마르살라 베르지네 리제르바' 1980 와인은 화이트 와인에 증류주(wine spirit)만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를 19%까지 강화시킨 최고급 베르지네 리제르바 제품이다. 리제르바 규정은 최소 10년 이상 오크통 숙성이지만 본 와인은 25년 가까이 오크 배럴에서 숙성시켰다. 옛부터 베르지네는 그릴로 Grillo 품종을 주종으로 생산되는데, 이 와인은 까타라또 Catarratto 와 인졸리아 Inzolia 를 추가 블렌딩하여 복합미를 도모했다. 1980 빈티지는 1880년에 설립된 펠레그리노 와이너리 100주년 기념 빈티지로서 극히 한정된 수량만 생산된 희소성이 높은 와인이며, '죽기 전에 꼭 마셔봐야 할 와인 1001'에 선정되었고 2050년까지 보관 가능하다고 하는 장기 숙성형 와인이다. 


콜크 마개를 오픈하자마자 바닐라와 견과 풍미가 방 안에 가득 퍼진다. 와인은 호박 보석색이 감도는 진한 황금색을 띠며 무화과, 곶감, 파이프 가루 담배향이 동방의 향신료와 결합된 오묘한 부케가 매우 신비스럽다. 20여년 이상 오크통에서 묵은 산화된 랑시오 Rancio 풍미가 더해지고, 아몬드의 고소함과 피톤치드의 싱그러움이 함께 뿜어져 나온다. 입안에서는 실크처럼 매끄럽고 당도와 산도, 알코올과 응축미 사이의 균형감이 좋다. 쎄꼬 스타일 특유의 드라이한 감미로움이 주는 피날레도 매혹적이다. 마치 내가 18세기의 영국의 한 비스트로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견과류와 건과류 한 접시면 족한 휴식과 명상의 와인이다.

8_pantelleria.jpg

빠시또 디 판델레리아, 네스

Passito di Pantelleria, Nes

 

 

이 스위트 와인은 강화 와인이 아니고, 또 다른 방식의 스위트 와인이다. 시칠리아 섬과 아프리카 튀니지 사이의 작은 화산섬 판텔레리아에서 생산된 모스까또 포도를 햇볕이나 열풍에 말리는 선드라이 방식으로 한정 수량 생산된다. 이곳에서는 현무암 돌담으로 둘러싸인 계단식 포도밭에서 학교 화단의 회양목처럼 낮게 포도나무를 재배한다. 고블레 Goblet 방식의 일종으로서, 뜨거운 태양과 강한 해풍으로부터 열매를 보호하기 위한 방식이다. 그리스의 산토리니섬에서도 사용하는 이런 포도나무 재배 방식은 매우 특이하고 독창적이어서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고 한다. 이 와인의 브랜드명 '네스'는 히브리어로 '기적'을 의미한다는데, 정말 기적같은 자연 환경에서 생산되는 와인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별명도 '판텔레리아의 진주'로 불린다.

 

포도 품종 모스카또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이지만, 이 섬에서는 지빕보 Zibbibo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런 토착 명칭도 정겹고, 시칠리아스럽다. 오래된 황금빛을 띠는 이 와인은 말린 무화과, 말린 살구, 꿀, 아카시아 향과 함께 감미로운 당도와 새큼한 산미가 균형을 이루며 호박엿 같은 묘한 미감을 남기며 사라지는 맛이 일품이다. 오크통 숙성을 하지 않고 병 안에서만 10개월 정도 숙성시켰으니, 지빕보 품종 고유의 특성을 한껏 살리고자 한 생산자의 의도가 느껴진다. 바닐라 아이스크림에 마스카포네 치즈, 계피 가루를 뿌린 티라미수와 고르곤졸라 피칸테 블루 치즈와 함께 먹으니 천상의 행복이 따로 없다.

 

9_tareni.jpg

타레니, 그릴로

Tareni, Grillo

 

 

시칠리아의 테루아를 가장 잘 표현하는 와인을 만들기로 한 펠레그리노 사는 전통적인 회사의 출발점인 마르살라 항구 주변의 구릉지대를 재조사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선정된 6개 구역에 가장 적합한 6가지 품종을 심고, 그 특색을 잘 표현하는 단일 품종 와인을 생산하게 되었다. 


그 중, 자갈이 풍부한 점토 토양의 해발 160m 고도의 포도밭에서 생산한 시칠리아의 가장 대표적인 화이트 토착 포도 품종인 그릴로 포도는 가장 매력적인 선택이었다. 9월 초순경 수확한 포도는 부드러운 압착을 거쳐 온도 조절 탱크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양조된다. 그릴로 특유의 광물질 특성을 보존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 탱크에서 3~4개월간 숙성 후 병입한다. 


리슬링의 광물질 특성을 흉내내는듯 다소 비릿한 돌내음을 풍기다가 지중해 품종 본연의 오렌지꽃 향기와 달콤한 서양배와 멜론 향, 피스타치오의 견과향과 알코올의 몽롱한 에탄올 터치가 몽환적으로 다가온다. 온화한 산미와 유질감, 미디엄 라이트 보디의 포동포동한 천사와 같은 순결함을 지닌 와인이다. 횟집의 도미회 한 접시를 후딱 비웠다.  

10_Tripudium.jpg

트리푸디움

Tripudium, Terre Siciliane IGT 

 

 

아페리티프는 아페리티프고, 디저트는 디저트일 뿐... 진검 승부는 역시 테이블 와인이 아닐까? 마르살라 와인의 절대 강자 펠레그리노 와이너리도 테이블 와인에 대한 전 세계적 수요를 무시할 수 없었다. 바로 이 대응 과정에서 펠레그리노는 시칠리아의 토착 품종으로 승부를 걸었다. 그 첫 단계에서 탄생한 와인이 바로 트리푸디움 Tripudium이다. 트리푸디움은 매해 최고의 품질 표현을 보여준 수확물로부터 만든 와인이다. 몇 가지 품종을 블렌딩할 수도 있지만, 대개는 시칠리아의 간판 스타 네로 다볼라 품종으로 생산한다. 스테인레스 탱크에서 순하게 발효한 와인은 오크 배럴 숙성 과정에서 고도의 복합미를 갖추게 된다. 무려 22개월을 오크통에서 숙성시켰다. 이 정도 오래 나무통에 들어가 있으면 나무의 타닌 때문에 와인이 뻣뻣해 진다. 그런데 이 와인은 절대 뻣뻣하지 않다. 시칠리아의 뜨거운 태양이 와인의 향기로운 과일 특성을 강화시켰거니와, 스테인레스를 사용한 발효 과정에서 과일향을 한껏 살렸기 때문이며, 14%에 달하는 알코올의 힘이 넉넉한 여유로움으로 타닌을 품어 안았기 때문이다. 펠레그리노 양조장의 플래그쉽 레드 테이블 와인으로서, 이탈리아 와인 평가 전문지 감베로 로쏘로부터 최고 등급인 '트레 비끼에리' 평가를 받았다.

 

와인명 '트리푸디움'은 라틴어로 '큰 업적, 성공'이라는 뜻인데, 마르살라 라는 강화 와인생산으로 시작한 펠레그리노 사로서는 이 테이블 와인의 성공적인 출시가 큰 성공이자 업적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바이올렛 제비꽃 보라 색상의 밝은 톤이 살아있는 화려한 색상의 레드 와인으로서 자두와 블랙 베리, 민트, 볏짚단, 세이지 향이 아련하게 풍기며, 살짝 감미로운 블루베리 주스의 달큰한 풍미가 남방의 느낌을 전해 준다. 시칠리아의 대표 파스타이며 가지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노르마 파스타 Pasta alla Norma 를 곁들이면 어떨까. 좀더 강한 것을 원하면 요즘 유행하는 채끝등심 스테이크를 미디엄 레어 템포로 주문해 보자. 

 


< 권장소비자 가격 >
 마르살라 베르지네 리제르바 첸테나리오 19만원대 
 네스 판텔레리아 15만원대
 트리푸디움 10만원대
 타레니, 그릴로 화이트 4만원대

 구입정보 : 하이트진로 (02-3485-5745)

 


 

손진호.jpg

 

 

필자 : 손진호 (중앙대학교 와인강좌 교수)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역사학 박사를 했고, 그 과정에서 발견한 와인의 매력에 빠져, 와인의 길에 들어섰다. 1999년 이후 중앙대학교에서 와인 소믈리에 과정을 개설하고, 이후 20여년간 한국와인교육의 기초를 다져왔다. 현재 <손진호와인연구소>를 설립, 와인 교육과 인문학 콘텐츠를 생산하며, 여러 대학과 교육 기관에 출강하고 있다. 인류의 문화 유산이라는 인문학적 코드로 와인을 교육하고 전파하는 그의 강의는 평판이 높으며, 와인 출판물 저자로서, 칼럼니스트, 컨설턴트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sonwine@daum.net 

 

 


- 저작권자ⓒ WineOK.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 [손진호의 와인이야기] 시칠리아 와인의 거장, 펠레그리노 Cantine Pellegrino

    10월 말 밖에 안되었는데, 한반도의 날씨는 갑작스레 영하권 가까이 떨어지고, 서둘러 롱패딩을 꺼내 입어야 했다. 뒤늦게 찾아온 태풍 위투는 사이판을 초토화 시키고 많은 관광객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다. 기상 이변이 점점 잦아지고 있다. 자연은 언제 어...
    Date2018.10.30 글쓴이손진호
    Read More
  2. [손진호의 와인피플 10] 와인 오브제 화가, 유용상 작가

    옷깃만 살짝 스쳐도 몇 겁의 인연이 전생에 있었다고들 한다. 우연히 스쳐 지나가도, 만날 사람은 결국 그 인연으로 다시 만나게 되는 것일까. 필자의 열 번째 인터뷰 손님도 이런 경우다. 2013년즈음 필자가 와인나라 아카데미에 근무할 당시, CEO 코스 종강...
    Date2017.07.19 글쓴이손진호
    Read More
  3. [손진호의 SOMM-열전 04] Marriott의 Merite, 정하봉 소믈리에

    매년 초, 필자는 Wine Spectator에서 발표하는 전년도 'Top 100 와인' 리스트를 분석하고 시음하는 특강을 기획하여 진행한다. 2014년 1월이었던가, 이 특강에 등록한 이들의 먕단을 살펴보다 낯익은 이름 하나를 발견했다. 정하봉 소믈리에였다. 그 ...
    Date2017.05.24 글쓴이손진호
    Read More
  4. [손진호] 와인피플 09_ 부산 와인공간 '바인' 박경아 대표

    박경아 대표에 대한 필자의 기억은 한참을 거슬러 올라간다. 기억력이 좋은 편도 아닌데, 박 대표와 만난 기억은 또렷하다. 필자가 초짜배기 와인 강사였던 시절이니, 2004~2005년 정도가 아니었을까 싶다. 당시 부산에 강의를 하러 내려갔다가 해운대 달맞이...
    Date2016.08.17 글쓴이손진호
    Read More
  5. 와인피플 08_대전 트레비니 강철호 대표

    대단한 젊은이다. 니트족, 캥거루족 같은 단어들이 난무하는 이 시대에 가정도 꾸리고, 직장도 있고, 자기 사업도 한다. 그것도 30대 중반에! 정말 착실한 젊은이다. 가정에 성실하고, 직장에 충실하며, 사업에 헌신한다. 필자가 그를 처음 만난 것은 수입사 ...
    Date2016.06.09 글쓴이손진호
    Read More
  6. [손진호의 SOMM-열전 03] ZALTO 김용희 대표

    2000년대 초반 '쉐죠이'라는 와인바에서 긴 머리의 블루스 기타리스트 겸 소믈리에로 활동을 시작한 후, 현재 한국 최고의 소믈리에로 우뚝 선 김용희 소믈리에. 오랫동안 '가든 플레이스'를 자신의 성역처럼 지켰던 그가 최근 와인글라스 수...
    Date2016.02.17 글쓴이손진호
    Read More
  7. 와인피플 07_ 대구 '인비노' 오너-소믈리에 황승호 대표

    2015년 4월에 한겨레신문사 부속 경제월간지 <이코노미 인사이트>로부터 와인을 주제로 한 별책 부록 제작을 의뢰 받았던 적이 있다. 나는 이 부록 마지막 편에 전국 각지에서 와인을 적합하고 편안하게 마실 수 있는 공간을 소개하는 꼭지를 넣었다. 이 작업...
    Date2015.12.10 글쓴이손진호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