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Piemonte 지역의 바롤로 와인과 중부 토스카나Toscana 지역의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와인은 이탈리아 레드 와인을 대표한다. 스타일은 다르지만, 네비올로Nebbiolo 품종과 산조베제Sangiovese 품종의 정수로 꼽히는 두 와인의 DOCG 규정과 현황을 비교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수치는, 두 지역의 포도밭 면적은 비슷한데 바롤로의 와이너리 수가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의 3배가 넘고 와인 생산량은 1.5배 많다는 것이다.

 

 

표.jpg

 

 

바롤로 DOCG가 가로X세로 약 10km 거리의 면적에 속하는 반면,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DOCG는 가로X세로 약 15km의 면적으로 바롤로 보다 2배가 넓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DOCG의 포도밭 규모가 비슷하거나 오히려 바롤로가 더 큰 이유는, 바롤로는 대부분이 포도밭으로 개발된 반면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의 포도밭은 주로 북동부와 남부 그리고 서부 일부에 분포하며 전체 면적의 절반 정도만 포도밭으로 개간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바롤로의 경우 공급량 증대에 제약이 큰 반면,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는 상황에 따라 포도밭 확장으로 공급량을 늘릴 여지가 있어 와인 공급과 가격 안정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vietti_048.jpg

<피에몬테 지역 Vietti 와이너리의 포도밭>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지역 와이너리의 평균 포도밭 크기는 평균 7.7h로 바롤로의 2.6h에 비하면 규모가 훨씬 크다.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가 규모의 경제를 통한 비용절감의 이점을 가졌다면, 바롤로는 소량생산에 의한 와인의 다양성이라는 강점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두 지역 와인 생산량의 차이는 포도 품종 및 와인의 특성 등과 관련이 있다. 네비올로는 포도나무의 세력이 산조베제보다 좋다. 그래서 트레이닝 시스템도 식물성장을 많이 허용하는 Guyot System을 사용한다. 반면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에서는 Corton System을 사용한다. DOCG 규정상 헥타르당 최대 와인 생산량이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가 바롤로보다 낮은 것도 이러한 포도품종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BDM.jpg

<토스카나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지역의 포도밭>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의 와인 생산량이 바롤로의 70% 수준에 머무는 것은 DOCG 규정보다 더 제한적으로 수확한 포도로 와인을 생산하기 때문이며, 단일 포도밭 와인의 생산 비율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위와 같은 DOCG 규정과 와인 생산 환경의 차이는 두 지역 와인의 스타일 차이에 영향을 미친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두 와인 ‘부르고뉴’와 ‘보르도’처럼, 이탈리아에서는 바롤로와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와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상철.jpg

 

글쓴이_ 이상철
 

 
경영학과 마케팅을 전공하고 통신회사에 근무하고 있으며, 보르도 와인을 통해 와인의 매력을 느껴 와인을 공부하며 와인 애호가가 되었다. 
 
중앙대 와인소믈리에 과정을 수료하고 WSET Advance Certificate LV 3 를 취득하였으며 와인 애호가로서 국내 소믈리에 대회에 출전하여 수상한 경력이 있다. 
 
2004년 부터 현재까지 쵸리(chory)라는 필명으로 와인 블로그를 운영하며 개인 시음기와 와인 정보 및 분석적이 포스팅을 공유하며 생활 속의 와인 문화를 추구하고 있다.

 

 


- 저작권자ⓒ WineOK.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 눈 속에서 탄생한 달콤한 와인, Icewine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와인을 꼽으라면 아이스와인(Icewine)이 빠질 수 없다. 아이스와인 1리터당 180그램, 많게는 320그램의 잔여 당분을 함유한다. 영하 8~12도의 날씨에 얼어붙은 포도를 수확, 양조해서 얻은 이 당분은 말그대로 천연 당분이다. 포도밭에 ...
    Date2019.02.27 글쓴이정보경
    Read More
  2. 가성비 갑, 1만원대 화이트 와인 추천_ 샤르도네 편

    레드 와인 소비가 지배적이던 국내 시장에서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의 소비가 꾸준히 늘고 있다. 데일리급 와인 중에서도 특히 화이트 와인의 가성비가 뛰어난 점, 화이트 와인의 높은 산도 덕분에 음식에 곁들이기 좋다는 사실을 소비자들이 알게 된 것이다. ...
    Date2019.02.25 글쓴이정보경
    Read More
  3. [와인 추천] 편의성, 가성비, 대중성의 삼박자 갖춘 편의점 와인

    요즘 들어 편의점에서 와인 사는 횟수가 늘고 있다. 집에서 몇 걸음이면 닿는 거리에 있고, 와인사러 간다고 차려 입을 필요도 없다. 처음에는 ‘그래도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에서 파는 와인이 더 낫지 않을까?’하는 의구심이 마음 한 켠에 자리했...
    Date2019.02.20 글쓴이정보경
    Read More
  4. 발렌타인데이 와인, 달콤하거나 또는 로맨틱하거나

    발렌타인데이인 오늘 저녁은 평소보다 특별해야 할 것 같다. 그래서 테이블엔 장미꽃을 담은 화병을 놓고 메뉴에는 직접 만든 디저트도 포함시켰다. 근처 홈플러스에서 평소 즐기던 와인도 몇 병 사왔다. 수많은 와인들 속에서 발견한 보석 같은 와인들이다. ...
    Date2019.02.12 글쓴이WineOK
    Read More
  5. 1만원대 칠레 카베르네 소비뇽 와인은 어떤 맛일까?

    우리나라 와인소비자들이 마트에서 가장 많이 구매하는 와인은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으로 만든 데일리급 칠레 와인이다. 가성비가 뛰어나고, 짙은 풍미와 적당히 높은 알코올 도수로 소비자들의 입맛에 어필하기 때문이다. 숙성 기간을 거칠 필요없이 출시 후 ...
    Date2019.01.24 글쓴이정보경
    Read More
  6. 와인 입문자들을 위한 안내서 

    매년 1월은 자타공인 새로운 시작 혹은 결심의 달이다. 외국어 학원과 피트니스 센터가 일년 중 가장 호황을 누리는 달도 다름아닌 1월이다. 2019년 달력의 첫 장을 펴며 김과장도 ‘뭔가 배워볼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은근히 음식 맛을 따...
    Date2019.01.15 글쓴이박지현
    Read More
  7. 바롤로 VS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Piemonte 지역의 바롤로 와인과 중부 토스카나Toscana 지역의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와인은 이탈리아 레드 와인을 대표한다. 스타일은 다르지만, 네비올로Nebbiolo 품종과 산조베제Sangiovese 품종의 정수로 꼽히는 두 와인의 DOCG 규정...
    Date2019.01.07 글쓴이이상철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 43 Next
/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