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탈루냐의 살아있는 역사, 보데가 1898 라몬 로케타

    스페인은 최근 몇 년간 가격 대비 품질이 높은 와인 생산국으로 국내 시장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2012년 13.2%, 2013년에는 14.8%의 시장 점유율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온 스페인은, 지난 해 수입통계 기준으로 국내 와인 수입량 5위를 차지하였다....
    Date2014.03.18
    Read More
  2. 칠레의 산 페드로, 프리미엄 와인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다

    2004년 한-칠레 FTA 이후 국내에서 칠레 와인의 인기는 급격히 치솟았는데, 저렴하고 맛있는 와인, 누구나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와인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이다. 수입량도 점차 늘어, 2013년에 칠레는 한국으로 와인을 수출하는 국가 중 2위를 차...
    Date2014.03.10 글쓴이박지현
    Read More
  3. 피에몬테 대표 문학과 와인의 만남, 테레다비노

        ■ 테레다비노TERREDAVINO _ 이탈리아 피에몬테 바롤로 지역 최대의 와인 생산자 조합   테레다비노는 1980년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 농가와 생산자 조합에 의해 설립된 바롤로 지역 최대의 와인 생산자 조합이다. 이곳은 그림 같은 전경을 자랑하는 ...
    Date2014.03.10 글쓴이wineOk
    Read More
  4. 랑그독의 샤또 마고, 푸에슈오

    Date2014.03.03
    Read More
  5. 비오디나미의 새로운 해석, 도멘 호슈 눼브

    비오디나미의 새로운 해석 도멘 호슈 눼브 Domaine des Roches Neuves 1992년, 띠에리 제르망은 비오디나미의 천국 루아르 밸리(Loire Valley)의 사뮈르 샹피니(Saumur Champigny) 지역에 도멘 호슈 눼브(Domaine des Roches Neuves)를 설립한다. 이후 4년간 ...
    Date2014.02.14
    Read More
  6. 전통과 현대의 융합, 까스텔 델 레메이

    한동안 '잠자는 거인’으로 불려왔던 스페인은 몇 해전부터 기지개를 활짝 펴고 있는 듯 하다. OIV(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Wine and Vine)의 통계에 따르면 스페인의 포도밭 면적은 1백만 헥타르로 세계 1위이며(2011년 기준), 생산량은 2012년 기준 3...
    Date2014.01.13 글쓴이박지현
    Read More
  7. 도멘 조르주 베르네(Georges Vernay)와 콩드리유의 부활

    “콩드리유의 가장 유명한 최상급 와인생산자로는조르주 베르네가 있다. 그 밖에 우수한 생산자로는 이 기갈, 르네 로스탱, 이브 퀴에롱...(중략)이 있다.” ([더 와인바이블], 캐런 맥닐, 2010) 18-19세기 즈음 북부 론은 보르도의 정상급 와인과 겨룰만한 품질...
    Date2014.01.1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 43 Next
/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