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냐 벤티스케로
GREY
Vina Ventisquero GREY
벤티스케로 와이너리는
칠레의 가장 큰 농식품 무역 회사(국영기업)인 아그로슈퍼AgroSuper가 설립한 와이너리이다.설립된 지 불과 십여 년 밖에 되지 않지만, 대기업의 전폭적인 투자를 받으며 2000년에 와인 생산을 시작한 이래, 가격 대비 높은 품질의 밸류 와인 생산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벤티스케로는 비록 역사는 짧지만 신생 와이너리다운 실험정신과 최고의 품질을 보여주기 위한 노력 그리고 환경친화적인 농법 도입 등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칠레의 주요 와이너리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벤티스케로는 칠레 대부분의 와인 기업들과는 달리, 프랑스의 유명 와인생산자들처럼 직접 소유한 포도밭에서 재배한 포도를 가지고 와인을 만든다. 포도밭 관리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법을 시행하고 있다. 나아가 전세계적으로 이름을 떨친 와인의 대가, 존 듀발(John Duval, 1986년부터 호주의 유서깊은 와이너리 펜폴즈에서 수석 와인메이커로 활약. 2002 펜폴즈 그랑쥬를 마지막으로 펜폴즈 와이너리를 떠남)을 영입하면서 칠레의 프리미엄 와인생산자 대열에 합류하였다.

The new GREY wines
와인메이커 펠리페 토소Felipe Tosso의 지휘 아래벤티스케로가 새롭게 선보이는 프리미엄급 와인 그레이는, 포도가 자란 기후와 토양 그리고 품종의 조화를 완벽하게 보여주기 위해 탄생한 와인이다. 또는, 그레이라는 이름을 달고 생산되는 모든 와인은 각각의 기원(혹는 테루아)을 반영하므로써 고유한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그레이를 생산하는데는 포도 재배에서부터 와인을 병입하는 전과정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노력이 들어간다. 포도는 손으로 수확하며 건강한 포도송이를 재차 선별한다. 수확한 포도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발효조에서 느리게 발효를 거치며, 프랑스산 새 오크통에서 18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숙성된다.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에 앞서, 그레이 와인을 완성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작업은 무엇보다도 토양과 품종의 조화를 확인하는데서부터 시작되었다. 와인메이커 존 듀발의 지식과 노하우를 빌려 매우 철저하게 토양을 분석하고 각 토양에 맞는 품종을 찾는 작업을 수행한 결과, 카사블랑카 밸리의 샤르도네, 마이포 밸리의 카베르네 소비뇽과 카르메네르, 아팔타 밸리의 메를로와 시라가 그레이 와인의 주종을 이루게 되었다. 토양 분석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포도밭의 구획별로 더욱 세분화되어 수행되었으며, 이는 구획별 포도의 수확 시기나 양조 방식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로써 결국, 포도가 자란 환경의 미세한 모든 부분을 반영하는 독특함을 갖춘 그레이 와인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레이 샤르도네
카사블랑카 밸리에서 생산한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와인으로, 약간 밝은 듯한 황금빛을 띠며 우아하고 복합적인 과일 풍미(파인애플, 파파야, 망고 등의 열대과일 등)와 함께 미네랄 풍미를 지니고 있다.
그레이 카베르네 소비뇽
마이포 밸리에서 생산한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으로 만든 와인으로, 깊고 어두운 빛을 띠며 산딸기, 카시스, 체리와 같은 과일 풍미가 풍부하고, 초콜릿, 검은 후추, 민트, 라벤더 등의 향이 강렬하다.
그레이 메를로
아팔타 밸리에서 생산한 메를로에 시라와 카르메네르를 소량 블렌딩한 와인으로, 깊은 루비색을 띠며 딸기, 잘 익은 자두와 같은 붉은 과일 풍미가 주를 이루고 초콜릿의 향도 은은하게 풍긴다.
그레이 카르메네르
마이포 밸리에서 생산한 카르메네르에 시라와 카베르네 소비뇽을 소량 블렌딩한 와인으로, 진한 보라색을 띠며 블루 베리, 블랙 베리, 체리, 다크 초콜릿, 검은 후추, 민트, 라벤더 같은 허브 향이 피어오른다.
그레이 시라
아팔타 밸리의 아팔타 포도원에서 생산한 시라 품종으로 만든 와인으로, 푸른 빛이 도는 짙은 붉은 색을 띠며 검은 후추, 아니스, 블랙베리, 블루베리 풍미가 강렬하다.
문의 _ 국순당 (02 513 8500)